도서관 관련 학술연구 주제와 자료를 소개합니다

[호주]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

2025년 08월 19일 | 공간 사례

  • 면적 : 27,986 sqft (2,600 제곱미터)
  • 준공 : 2024년

호주 애들레이드(Adelaide)에 위치한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는 풍경과 건축을 정교하게 결합해 활기찬 도서관이자 지역 공동체 허브를 만들었다. 이곳은 블랙우드(Blackwood) 기슭에서 사람들의 연결과 탐구, 그리고 지속가능성을 촉진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는 애들레이드(Adelaide) 남동부 교외인 블랙우드(Blackwood)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건축 형태와 풍경, 그리고 인근 공원을 연결하는 이 2층 규모의 도서관과 다목적 커뮤니티 허브는 사람들이 모여 교류하고, 탐구하며, 배우고, 창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미첨 시(City of Mitcham)는 건물의 이름을 정하는 과정에서 카우르나(Kaurna) 원로들과 지역 주민과 협의했다. 그 결과, 지역에서 멸종위기종인 노란꼬리검은앵무새(Yellow-tailed Black Cockatoo)의 출현이 늘어난 것에 주목해 ‘티우(Tiwu, 노란꼬리검은앵무새) 쿠망카(Kumangka, 함께 모이다)’라는 카우르나 언어의 이름을 채택했다. 이 건물은 시의 전략·커뮤니티·도서관·오픈스페이스 부서와 협력해 설계됐으며, 기존의 도서관과 커뮤니티 시설을 하나로 통합해 와이트 스트리트 리저브(Waite Street Reserve) 인근에 확장된 단일 시설로 조성됐다. 티우 쿠망카는 블랙우드 중심지의 공유 공공 공간들을 연결하는 더 큰 구역 마스터플랜의 핵심 구성 요소다.

이 건물은 주변의 자연환경을 기념하며, 나무 캐노피와 애들레이드 평원을 내려다보는 능선 지형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로어 미첨(Lower Mitcham)의 자매 도서관에서 이어진 개울 바닥의 디자인 모티프를 담고 있다. 상부 외관은 인근 마운트 로프티 레인지(Mount Lofty Ranges)에서 자라는 호주 블랙우드(호주 아카시아, Acacia melanoxylon)의 어두운 나무껍질을 연상시키도록 마감했다. 견고한 재료 사용은 이 지역의 광산업 역사를 반영한다.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는 탐구와 발견을 장려하는 공간

아트리움 형태의 현관은 방문객을 자연스럽게 내부로 이끌며 뚜렷한 도착감을 형성한다. 내부의 ‘거리’는 시각적·물리적으로 공원과 도로를 연결하고, 연결 다리와 천창은 방문객이 위와 주변을 둘러보도록 유도한다.

내부 공간은 조경과 이어지며 확장된다. 캐노피는 그늘진 야외 공간을 제공하고, 햇살이 드는 옥상 테라스에서는 인접한 공원을 조망할 수 있다. 상층부의 커뮤니티 공간과 1층 도서관은 빛을 거리로 흘려보내어 도시 환경을 생동감 있게 만든다. 이러한 공간은 공동체 행사가 밤까지 이어지도록 뒷받침한다.

집 이상의 안식을 제공하는 도서관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의 1층은 지역 공동체 활동의 중심 공간으로, 도서관과 함께 운영 기능 및 직원 공간이 자리한다. 이 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보관하는 장소가 아니라 모든 세대를 환영하는 열린 환경이다. 공원을 내려다보는 주요 장서 공간, 장난감·아동 도서관, 청소년 전용 구역, 다양한 부스와 라운지가 마련돼 있다. 자연광이 풍부하게 들어와 방문객이 편안하게 머물며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건물 전반에는 셀프 서비스로 이용할 수 있는 티 포인트가 배치돼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재충전할 수 있도록 했다.

건물은 개방성과 공간의 규모, 그리고 흐름을 통해 내부 연결성을 강조

상층에는 다목적 홀을 비롯해 현관과 옥상 테라스로 이어지는 커뮤니티 공간, 메이커 스페이스, 디지털 허브, 그리고 커뮤니티 주방이 마련돼 있다. 큰 커뮤니티 공간에서 갈라져 나온 작은 방들은 개인이나 소규모 모임이 조용히 머물 수 있는 쉼터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별 공간은 순환형 복도, 중앙 아트리움, 그룹 커뮤니티 공간과 시각적으로 연결돼 건물 전체에 일관되고 열린 분위기를 형성한다.

물에 민감한 도시 설계를 위한 기준 마련

이 프로젝트는 지속가능성 원칙을 설계 전반에 반영해, 유연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공동체 시설로 기능하도록 했다. 자연광과 개방 공간과의 연결성을 세심하게 고려해 설계했으며, 유연한 구역 배치는 이용자 수요에 맞게 공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에너지 사용 효율을 극대화한다. 티우 쿠망카(Tiwu Kumangka)는 미첨 시(City of Mitcham)의 물 민감형 도시 설계 원칙을 실천하는 기준점이 된다. 빗물의 자연 여과, 빗물 수집과 재활용, 투수 포장 등을 도입했으며, 향후 태양광 설비를 추가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출처 : educationsnapshots.com

0개의 댓글